반응형 전체 글68 BroadcastReceiver에서 Background thread를 사용 시 주의 사항 BroadcastReceiver의 onReceive() 메서드에서 뭔가 시간이 오래 걸릴 작업을 해야할 일이 생겼다. 정확히는 BroadcastReceiver의 onReceive() 메서드에서 특정 이벤트를 받게 되면, ContentResolver를 통해 디바이스 내 다른 앱에 구축된 Database에 데이터를 insert해주어야 하는 상황이다. AsyncTask를 통해 DB에 insert하면 될 것 같지만 한가지 주의 사항이 있다. 아래 링크에서 그 내용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broadcasts#effects-process-state 간단히 얘기하면, onReceive() 메서드가 return 되면 Broadcas.. 2020. 11. 8. [Android] 앱 출시 전 체크 사항 14가지 (번역) ※ 본 포스팅은 Amit Shekhar의 작성한 “Android App Release Checklist For The Production Launch“의 번역 글로 저자에게 번역 요청에 대한 승인을 받고 작성된 글입니다. 열심히 앱을 만들어온 당신은 이 특별한 순간을 기다려왔습니다. 그 결과물을 상용 서비스로 런칭하려고 하는데, 혹시 내가 뭔가 놓친게 있나, 잊고 있는게 있나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그런 당신을 위한 궁극의 출시 전 체크리스트를 소개합니다. 1. Analytics 추가 의미있는 모든 곳에 분석 툴을 추가했는지 확인하세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지, 어떤 메트릭을 측정하고 싶은지 생각해보고, 당신이 추가한 분석 툴을 통해 해당 데이터와 메트릭을 얻을 수 있.. 2020. 11. 8. [Android] Firebase FCM을 사용하여 서버 없이 push 알림 구현하기 – part 2 본 포스팅은 Android에서 Firebase FCM을 사용하는 두 번째 포스팅으로 서버 측 구현을 다루고 있습니다. 1. FCM Trigger 등록 이제 서버쪽 구현이 필요합니다. 여기서 서버는 Firebase – Clound Functions를 사용하여 구현할 예정입니다. 앞서 언급한데로 Firestore의 특정 document가 변경되면 document의 소유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message를 보낼 것입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Firestore의 특정 document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trigger를 부착해야 합니다. 이는 생각보다 굉장히 쉽습니다. 아래 코드는 Firestore의 recruits에 {recruitId} document가 수정되면 동작하는 trigger입니다. .. 2020. 11. 8. [Android] Firebase FCM을 사용하여 서버 없이 push 알림 구현하기 – part 1 Firebase의 Auth, Realtime database만으로도 어지간한 서비스는 서버 없이도 만들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2% 부족했죠. DB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추가 작업이 이루어 져야 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구현한다고 하면 클라이언트 코드가 아주 복잡해졌습니다. 서버에서 해야할 작업을 클라이언트가 직접 해주어야 했기에 복잡성이 증가하고, 안정성?도 떨어졌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성이 계속 증가하지만 과연 100% 확신할 수 있을까?…) 하지만 Firebase에 Cloud Functions 기능이 추가되면서 한단계 더 만족할만한 Serverless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동기] 아래와 같은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사용자 A가 채팅 방을 개설합니다. 사용자 B가 채팅 방.. 2020. 11. 8.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