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PI KEY2 [Android] Resource XML에서 API Key 다루는 방법 일반적으로 API Key는 소스 코드에 하드 코딩하지 않습니다. 하여 git 관리 대상도 아닙니다. 절대 노출되면 안되는 아주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API Key를 하드 코딩하지 않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본 포스팅은 이것과 연계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dev-youknow.tistory.com/14 build.gradle에 정의한 정보를 Java/Kotlin 코드에서 읽어오는 방법은 위 포스팅을 보시면 됩니다. 비슷하게 Java/Kotlin 코드가 아니라 XML에서 참조하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아래와 같이 build.gradle에 정의하시면 됩니다. android { ... defaultConfig { ... resValue "string", "AP.. 2020. 11. 8. Android 앱 개발 시 Gradle을 통해 API Key 관리하는 방법 REST API를 사용하기 위해 Client Id, Client Secret 혹은 API Key와 같은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Home directory에 있는 gradle.properties 에 해당 정보를 입력 API_KEY="발급받은 API KEY를 이곳에 적어준다." 2. Module 수준의 build.gradle 수정 android { ... defaultConfig { ... buildConfigField "String", "API_KEY", API_KEY } ... } 위와 같이 작성하게 되면 API_KEY를 BuildConfig를 통해 코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코드에서 BuildConfig.API_KEY 를 통해 사용 const val API_HEADER.. 2020. 11. 8. 이전 1 다음 반응형